1970년대의 한국문학이 보여주는 역사적 특성은 크게 두 가지 사각에서 이해된다. 하나는 거시적인 시각이며, 다른 하나는 미시적인 시각이다. 전자에 따르면 1970년대의 우리 문학은 이른바 해방 이후의 문학에 포함된다. 권영민은 우리 근대문학의 역사를 크게 세 단계로 나눈다. 첫째 단계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로 개화기 시대, 둘째 단계는 20세기 초부터 중반까지로 일제 식민지 시대, 셋째 단계는 20세기 중반부터 후반까지로 해방 이후의 시대로 불린다." 그에 따르면 해방 이후의 우리 문학은 시대적 삶과 직접 대응하는 특성을 보여주며, 다시 해방에서 6.25에 이르는 시기에는 민족 문학의 재확립, 1950년대 초기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는 문학과 현실의 분열, 196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는 문화 적 자기 발견과 사회 인식이라는 특성을 보여준다. 1970년대의 우리 훈 하이, 거시적인 시각에 따르면 해방 이후의 문하에 포함된다는 말은, 좀 더 부연하면 이 시대 문학의 특성이 해방 이후의 문학적 과제, 곧 분단 상황과 그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나 다른 하나의 시각인 미시적 시각에 따르면 1970년대 우리 문화는 그 앞 시대인 1960년대의 우리 문학을 배경으로 거느린다. 따라서 1970년대 우리 문학의 특성은 1960년대의 특성을 변증법적으로 극복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1960년대의 그것을 전제로 1970년대 우리 문학의 특성은 과연 어떻게 규정되는가. 권영민에 따르면 1960년대 우리 문학의 특성은 한글세대 작가들이 등장해 소시민적 삶과 그 내면 의식을 추구하는 작업을 전개한 점, 개인적인 삶 가운데서 자기 존재를 발견한다는 점으로 요약된다. 이에 비해 1970년대 우리 문학의 특성은 이 시대의 정치적 상황 변화와 산업화 경향에 따라 더욱 첨예한 문학정신의 대립을 드러내 보인다. 구체적으로 민족 문학론의 재론, 리얼리즘 정신, 민족 문학론, 분단 논리에 대한 도전, 산업화의 부산물로서 문학의 대중화 현상. 사회적 계층의 빈부 격차와 그 갈등이 문학적 관심사로 등장하고 계간지를 중심으로 한 비평 활동이 이 시기의 문학론 방향을 주도한다. 시의 경우에는 언어적인 해체와 일상적 경험의 획득, 소설의 경우에는 분단 현실과 상황 문제를 포괄하면서 창조적 확대가 가능케 된다.」 - 70년대 문학 저항과 산업화 (오하늘의 의성, 반부 주자)
1960년대와 대비되는 1970년대 우리 문학의 이런 특성들은 다른 논자들에 의해서도 지적된 바 있다. 예컨대 신동욱은 소설을 중심으로 1970년대 우리 문학의 개성을 산업사회의 문제점을 제기한 것으로 요약한 바 있고, 조남현은 시를 중심으로 1970년대 우리 문학의 특성을 역시 산업 사회적 속성에서 읽고 있다. 그에 따르면 1970년대 우리 사회는 산업사회의 형태를 띠게 되면서, 그에 따라 지식산업이 확대되었고, 현실에 대응하는 시의 역할이나 기능이 재정립된다. 이런 재정립의 방법 가운데 하나로 전통 단절의 개념이 제기된다. 그것은 시 형식의 개방을 모색하는바. 시어와 일상어의 동일시, 시의 산문화 경향을 통해 무절제의 미학을 추구하게 된다. 5)
1970년대의 우리 문학이 보여주는 이런 현상들은 문학의 역사가 가치관의 갈등을 원동력으로 전개된다는 사실을 실증한다. 필자는 1970년대의 우리 문학이 보여주는 두드러진 특성을 민족 문학에 대한 이론적 탐구, 이에 곁들인 민중문학의 확산, 산업 시대적 특성, 새로운 실험문학의 개 화 등으로 정의한 바 있고. 이런 특성으로 이 시대의 사회 구성원이 지니고 있는 가치관의 갈등이 일어날 때, 혹은 앞 시대의 이데올로기와 다음 시대의 이데올로기 갈등이 일어날 때 문학의 새로운 역사가 전개된다. 그뿐만 아니라 같은 시대를 산다고 해도 가치관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1970년대 우리 문학의 역사적 특성을 규명하는 일은 앞 시대의 가치관과 다음 시대의 가치관이 충돌하는 수평적 관계, 나아가 같은 시대 속에 드러나는 여러 가치관이 충돌하는 수직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1970년대의 우리 시가 보여주는 일반적 경향은,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듯이, 1960년대의 그것이 어떻게 발전되며 나아가 변증법적으로 종합 지양되느냐는 측면에서 이해된다.
이런 측면에서 조남현은 이 시대의 우리 시가 토대로 하는 원형질을 김 춘수, 김수영, 박목월, 서정주로 잡은 바 있다. 이 가운데서도 1970년대 우리 시의 역사적 특성을 드러내는 데에 기여한 원형질은 김춘수의 시와 김수영의 시이다. 1960년대의 이른바 순수/참여의 대립이 1970년대에 오면서 어떻게 발전되며, 종합 지향되는가 하는 문제는 구체적으로 김춘수류의 시와 김수영류의 시가 안고 있는 시적 성과나 한계와 관계되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오면서 김수영류의 시, 이른바 참여 시는 새로운 목소리로 확산한다. 우리 근대 시의 역사를 놓고 보면 이런 경향의 시는 한용운, 운 동주, 이육사, 김수영, 신동엽 등으로 이어지는바, 1960년대에 김수영. 신동엽이 타계하자 이런 시의 흐름은 1970년대에 오면서 신경림에 의해 새로운 특성을 획득한다. 신경림은 1950년대 중반에 데뷔했으나, 본격적으로 활동한 것은 1970년대에 오면서부터이다. 그의 시가 보여주는 특성은 김수영의 시에서 읽을 수 있었던 모더니즘의 요소가 말끔히 배제된 점. 동시에 신동엽의 시가 보여주던 도시 서민들의 애환이나 분단의식이 시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의 시는 1970년대의 상황, 특히 산 업화가 야기하는 소외된 농촌의 현실을 절제된 언어로 형상화한다.
'국문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0년대 소설의 갈래 (0) | 2024.11.29 |
---|---|
1960년대 새 세대의 충격과 소설 (0) | 2024.11.29 |
1960년대 순수·참여와 다극화 시대 (0) | 2024.11.29 |
1950년대 전쟁 체험과 소설 2 (0) | 2024.11.29 |
1950년대 전쟁 체험과 소설 1 (0) | 2024.11.29 |